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혈액암의 두 얼굴: 호지킨과 비호지킨 차이 한눈에 보기

by Allen Kim 2025. 6. 25.

호지킨 vs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법의 차이점 만화체 그림
호지킨 vs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법의 차이점 만화체 그림

🧬 호지킨 vs 비호지킨 림프종: 차이점과 치료법 정리

림프종 진단을 받으면 처음 듣는 낯선 단어들이 쏟아집니다.


그중 대표적인 분류가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입니다.
질환은 모두 림프계에 발생하는 혈액암이지만, 병의 성격, 치료법, 예후 등이 많이 다릅니다.


오늘은 림프종의 핵심적인 차이점 치료법, 그리고 최근의 의료 동향까지 정리해드립니다. 또한 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주로 림프종 진단이 의심되거나 이미 판정을 받으신 분들이실 해서 두가지 림프종의 발생기전 대해서도 간단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1️ 호지킨 림프종이란 무엇인가요?

호지킨 림프종은 리드-슈테른베르크 세포(Reed-Sternberg cell)라는
특이한 형태의 암세포가 존재할 진단됩니다.
전체 림프종의 10~15% 차지하며, 주로 청년기~중년기 많이 발생합니다.

주요 특징:

  • 순차적 림프절 전이: 가까운 림프절부터 순차적으로 퍼짐
  • 초기 치료 반응이 좋음
  • 방사선+항암 병행 치료에 예후 양호

 

2️ 비호지킨 림프종은 어떻게 다른가요?

비호지킨 림프종은 호지킨 림프종이 아닌 모든 림프계 암을 통칭합니다.
종류가 60가지 이상으로 매우 다양하며, 노년층에서 흔하게 발병합니다.

주요 특징:

  • 비순차적 전이: 멀리 떨어진 림프절 또는 장기부터 시작 가능
  • 속도 차이 : 느리게 자라는 ‘ indolent type ’ 매우 빠른 ‘ aggressive type ’ 존재
  • 항암요법 중심 치료, 일부는 CAR-T 면역치료 시도됨

 

🔍 주요 차이점 정리

구분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암세포 리드-슈테른베르크 세포 존재 다양한 세포 유형
전이 양상 순차적 비순차적, 불규칙
환자 연령 청년~중년 중년~고령
종류 단일 질환 60 이상 다양한 아형
치료 예후 비교적 양호 예후 다양, 일부 치료 어려움
치료법 ABVD 화학요법 + 방사선 CHOP 화학요법, 표적/면역 치료

 

 

🧬 1. 호지킨 림프종 (Hodgkin Lymphoma) 발생 기전

 

🔹 리드-슈테른베르크 세포 (Reed-Sternberg cell)

  • HL 대표적 특징은 Reed-Sternberg 세포라는 거대 이상 B세포입니다.
  • 세포는 다핵성, CD30+ / CD15+, B세포 유래임에도 불구하고 면역글로불린 발현이 결핍 있어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 EBV (Epstein-Barr virus) 연관성

  • 40~50% HL 환자에서 EBV 감염 흔적이 발견됩니다.
  • EBV 감염은 B세포의 성장 조절을 무시하게 만들고, 종양세포로 변이하는 영향을 미칩니다.

🔹 면역기능 억제 유전자 돌연변이

  • NF-κB 활성화, JAK/STAT 신호 경로 이상 등으로 인해 세포자멸사 회피 지속적인 증식 유도됩니다.
  • 특정 유전자 변이 (: BCL6 억제, PD-L1 과발현 ) 보고됨.

 

🧬 2. 비호지킨 림프종 (Non-Hodgkin Lymphoma) 발생 기전

 

비호지킨 림프종은 매우 다양한 아형(subtype) 있으며, 발생 기전도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B세포 림프종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 B세포 기원 NHL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소포성 림프종 )

  • 염색체 전좌(translocation) 주요 기전입니다.
전좌 관련 유전자 효과
t(14;18) BCL2 항세포사멸장기 생존
t(8;14) MYC 세포 증식 촉진
t(11;14) Cyclin D1 세포 주기 조절 이상
  • 이로 인해 세포사멸 회피, 비정상적 증식 촉진됩니다.

🔹 T세포 기원 NHL

  • 세포독성 기능을 가진 T세포 또는 NK세포의 이상 증식이 원인입니다.
  • HTLV-1 감염과 연관된 경우도 있음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 만성 염증 면역질환 배경

  • 헬리코박터균 감염 MALT 림프종
  • 장기 면역억제치료 → PTLD (이식 림프증식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증후군 등도 위험 인자

 

⚖️ 주요 차이 요약

호지킨과 비호지킨 암세포의 모습을 이미지로 만화체 그림

 

항목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주요 세포 Reed-Sternberg 세포 다양한 B 또는 T세포
바이러스 연관성 EBV 연관성이 높음 일부 아형에서 EBV/HTLV
유전자 이상 JAK/STAT, NF-κB 활성 BCL2, MYC, Cyclin D1 전좌
면역억제 관련 상대적으로 적음 면역억제 치료 증가 가능
치료 반응 고선량 항암+방사선에 반응 좋음 아형에 따라 다양

 

📌 정리

  • 호지킨 림프종은 일부 바이러스와 유전자 이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정상적인 B세포가 Reed-Sternberg 세포로 변형되며 발생합니다.
  • 비호지킨 림프종은 특정 유전적 전좌나 면역 기능 저하, 만성 염증 상태가 관련돼 있어 아형에 따라 발생 기전이 다양합니다.

 

💉 주요 치료법 요약

호지킨 림프종의 대표 치료법

  • ABVD 요법: Adriamycin, Bleomycin, Vinblastine, Dacarbazine 조합
  • 일부 국소 병기에서는 방사선 치료 병행
  • 치료 반응률 80~90% 이상으로 매우 우수

비호지킨 림프종의 대표 치료법

  • CHOP 요법 + Rituximab (R-CHOP): 가장 일반적인 치료 조합
  • 일부 고위험군은 조혈모세포 이식 또는 CAR-T 치료 고려
  • 종류에 따라 치료 성적 차이

 

📈 예후는 어떤가요?

  • 호지킨 림프종: 조기 발견 5 생존율 90% 이상
  • 비호지킨 림프종: 유형에 따라 다르며, indolent type 수년간 관찰만 하는 경우도, aggressive type 빠르게 진행되기도 합니다.

 

🧭 나에게 해당될까? 어떤 검사로 구분할 있나요?

  • 림프절 조직검사(생검): 림프종을 명확히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
  • PET-CT, 혈액검사: 병기 결정과 치료반응 추적에 사용

자가 진단은 불가능하며, 림프절이 계속 붓거나 B 증상(야간 발한, 체중 감소, 지속 피로 ) 있다면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마무리 요약

  • 림프종은 호지킨/비호지킨으로 나뉘며, 성격과 치료법이 매우 다릅니다.
  •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며, 림프절 이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 치료법도 점점 정밀하게, 맞춤형으로 발전 중입니다.

    림프종으로 힘드신 환자분들의 빠른 쾌유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다음 포스팅 예고:

👉 [3] 림프종 치료의 최신 흐름과 생존 전략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