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 유럽심장학회(ESC) 가이드라인 핵심 요약: 운동과 약물 치료 전략

by Allen Kim 2025. 6. 8.

소중한 나의 심장을 가슴에 안고 운동하는 중년 남성의 모습 만화체 그림
소중한 나의 심장을 가슴에 안고 운동하는 중년 남성의 모습 만화체 그림

🫀 운동, 심장을 지키는 과학

        — 2023 유럽심장학회 가이드라인으로 심혈관 건강과 중강도 운동의

 

운동은 약이다라는 , 과장이 아닙니다

시간이 없어서 운동을 한다 , 사실은운동의 필요성을 충분히 체감하지 못했다 뜻일지도 모릅니다.
2023
유럽심장학회(ESC) 발표는 점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150분의 중강도 운동이 심장마비, 뇌졸중, 협심증의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춘다 강력한 메시지.


이제 운동은 선택이 아니라 심장을 위한 생존 전략입니다.

 

🧾 2023 ESC 가이드라인 핵심 요약

유럽심장학회(ESC) 세계 심장 전문의들이 참고하는 권위 있는 학회로,
2023
가이드라인에서는 운동의 질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했습니다.

 

🟢 핵심 요점 3가지

      1. 모든 성인에게 주당 150~300분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 권장

      2. 2 이상의 근력 운동 병행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상승

      3. 이미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도, 전문적 지도 하에 운동은 필수 치료 수단

 

특히 주목할 점은, 고혈압·당뇨·고지혈증 심혈관 위험군에서도
안전하게 수행 가능한 중강도 운동 루틴 강조했다는 점입니다.

 

💪 중강도 운동이란 무엇인가요?

중강도 운동은 숨이 약간 차지만 대화는 가능한 수준의 활동을 말합니다.

운동 유형 💡 예시
빠르게 걷기 실외 또는 러닝머신에서 시속 5~6.5km 속도로 걷기
가벼운 자전거 타기 평지 기준 시속 15~18km
수영 천천히 지속적으로 하는 자유형 또는 배영
실내 유산소 스텝박스 운동, 저강도 에어로빅
생활 활동 계단 오르기, 정원 가꾸기, 청소하면서 움직이기

Tip: 1회에 10 이상, 하루 30 기준으로 5일간 실천해 보세요!

 

🩺 심혈관 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분이라면 주의해서, 꾸준하게!

🔸 고혈압 환자

  • 운동 전후 혈압 측정 필수입니다. 잊지 마세요.
  •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 혈압을 약물의 효과만큼 낮출 수도 있습니다.
  • 무산소성 무리한 근력 운동은 피하고 호흡 조절도 필수입니다.

🔸 2 당뇨병 환자

  • 식후 1~2시간 후에 적절한 양과 강도의 운동을 권장합니다.
  • 혈당 조절과 인슐린 감수성 향상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발바닥 감각 이상이 있다면 발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보호에도 유의하세요.

🔸 고지혈증 환자

  • 유산소운동 + 근력운동 병행 LDL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 체중 감량 효과도 함께 기대가 가능합니다.
  • , 과음/과식 곧바로 운동은 금물입니다.

 

🔬 운동이 심장질환 위험을 낮추는 과학적 이유

단순히운동이 좋다 말로는 부족합니다.
운동이 어떻게 심장마비, 뇌졸중, 협심증의 위험을 줄이는지, 과학적으로 들여다보면 효과가 더욱 분명해집니다.

 

📌 1. 혈압 조절

           운동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산화질소(Nitric Oxide) 분비를 촉진해
           혈관 탄력을 높이고 고혈압을 예방 완화합니다.
           꾸준한 유산소 운동은 혈압을 낮추고, 심장의 기능수행에 부담을 줄입니다.

 

📌 2. 혈당과 인슐린 감수성 향상

           운동은 근육 세포가 혈당을 에너지로 흡수하도록 유도
           당뇨병 예방 물론, 혈관 손상을 일으키는 고혈당 상태를 줄여줍니다.
           이는 뇌졸중, 심장마비의 근본 원인을 차단하는 핵심입니다.

 

📌 3. 콜레스테롤 개선

          유산소 운동은 HDL(좋은 콜레스테롤) 증가시키고
          LDL(
나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낮춰
          혈관에 플라크 쌓이는 속도를 줄입니다. (다음 포스팅에 '플라크'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결정적 원인을 완화합니다.

 

📌 4. 심장 기능 향상

         운동을 하면 심장이 효율적으로 혈액을 펌프질하게 되며,
         휴식 심박수도 낮아져 장기적으로 심근 부담이 줄고, 심장 근육이 강화됩니다.

 

📌 5. 염증 감소 혈전 형성 억제

        운동은 전신 염증 수치(CRP ) 낮추고,
        혈액이 너무 끈적해지는 것을 방지해
        혈전(피떡) 형성 위험을 감소시켜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글을 읽는 당신께 드리는

        “운동은 나중에 할게요라고 말하던 사람들이,
         나중에 시간이 생기면 시간을 병원 대기실에서 보내곤 합니다.

 

         하루 30, 150.
         당신의 심장은 정도만으로도 감사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지금 걷는 당신은, 내일의 병원 예약을 취소하고 있는 입니다.
         오늘부터 심장을 위한 투자, 시작해볼까요?